- AllCalc Calc News/Info
4개의 미지수가 있는 복소수 연립방정식 예제 (4원 1차 복소수 연립방정식)
다양한 공학 응용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유형입니다.
전기 회로 분석에서는 복소수를 사용하여 임피던스와 전류의 상관관계를 계산할 때 복소수 연립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또한 신호 처리나 제어 이론에서도 복소수로 표현된 시스템을 다루며 복소수 해를 구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전자기학이나 양자역학과 같은 물리학 분야에서도 복소수 연립방정식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파의 위상과 진폭을 복소수로 표현하여 물체에 대한 간섭 효과를 계산하거나, 파동 방정식을 풀 때 복소수 형태의 해를 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단순한 수학적 연습을 넘어서, 공학적 문제 해결이나 물리적 현상의 해석에서 실제로 접할 수 있는 상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복소수 해석 능력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문제:
다음 복소수 연립방정식을 풀어 \(x\), \(y\), \(z\), \(w\) 값을 구하세요.
\[
\begin{cases}
(2 + i)x + (1 - i)y + z + iw = 5 + 4i \\
x + (3 - 2i)y + (1 + i)z + w = 2 - i \\
2x + y + (1 + 2i)z + (3 - i)w = 6 + i \\
(1 - i)x + (2 + i)y + z + 2w = 4 + 3i
\end{cases}
\]
풀이 가이드:
1. 각 방정식에서 실수부와 허수부를 나누어 8개의 실수 방정식으로 변환하여 풀기
주어진 복소수 방정식 4개는 각 방정식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따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각 방정식에서 real(좌변) = real(우변), imag(좌변) = imag(우변)으로 나누면 총 8개의 실수 방정식이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x\), \(y\), \(z\), \(w\)는 각각 실수부와 허수부를 가지므로 새로운 8개의 미지수가 생깁니다. 이렇게 8개의 실수 연립방정식이 성립되며, 이를 통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이후, 행렬 형태로 변환하여 가우스 소거법이나 역행렬을 이용해 풀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을 사람과 계산기의 상황으로 나누어 고려해보겠습니다.
손으로 계산한다면
손으로 계산하는 경우, 8x8 행렬의 역행렬을 구하는 것은 계산량이 많고 실수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오히려 가우스 소거법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가우스 소거법은 계산 절차가 체계적이기 때문에, 실수를 방지하고 한 단계씩 나아가면서 해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손으로 계산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계산기로 계산한다면
공학용 계산기를 사용할 경우, 어떤 방식을 사용하든 계산기가 해를 도출해 주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계산기를 사용할 때는 중요한 것은 계산기가 해당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특히, 복잡한 8x8 행렬 연립방정식을 다룰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최신 공학용 계산기라면 8x8 행렬 입력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역행렬을 구하거나 rref(계단식 형태로 변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만약 계산기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한다면, 역행렬을 이용한 방법이나 가우스 소거법 모두 선택 가능하며, 계산기 자체가 그 과정을 처리하므로 사용자는 계산기를 적절히 설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2. 복소수 행렬을 구성하여 행렬 방정식을 풀기
복소수 행렬을 구성하여 직접 복소수 연립방정식 형태로 다룰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복소수 행렬 연산이 가능한 공학용 계산기를 사용하거나, MATLAB, Python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복소수 연립방정식은 실수 연립방정식으로 변환하지 않고도 복소수 계산 기능을 지원하는 툴을 사용하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손으로 계산할 경우
복소수 행렬을 그대로 다루려면 계산 과정이 매우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복소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나누는 대신 복소수 연산을 직접 다뤄야 하므로, 복잡한 소거 과정에서 계산 실수가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계산기로 계산할 경우
공학용 계산기 중 복소수 연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복소수 행렬을 그대로 입력하여 가우스 소거법이나 역행렬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실수와 복소수를 따로 분리할 필요 없이, 복소수 계산을 처리할 수 있는 계산기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3. 복소수 행렬의 가우스 소거법이나 소프트웨어(예: MATLAB, Python 등)를 사용해 풀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계산이 훨씬 쉬워집니다. MATLAB, Python의 NumPy와 같은 라이브러리에서는 복소수 행렬에 대한 가우스 소거법, 역행렬 계산, 또는 계단식 행렬(rref)로 변환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Python의 `numpy.linalg.solve()` 함수는 연립방정식을 쉽게 풀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직접 계산보다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mment 5
-
-
-
fx-9860G - RREF 로 계산
위의 예제 행렬 A와 B를 C(4×5)행렬에 다 때려넣고,
【EXIT】【EXIT】
【OPTN】【F2】MAT
【F6】【F5】Rref
【SHIFT】【2】【ALPHA】【저장된 행렬변수명 C】【=】실행
결과는 4×5 행렬로 나오기 때문에, 분수꼴로 나타낼 수 없고, 항상 (부동) 소숫점 형식으로 나옴.
-
-
-
TI-nspire CAS - cSolve 로 풀기
※ 참고 : csolve() - https://allcalc.org/22100
-
-
-
TI-nspire CAS - 역행렬 이용
-
-
-
TI-nspire CAS - rref 이용
-
fx-9860G - 행렬의 역행렬로 계산
역행렬의 입력 방법 【SHIFT】【)】 : https://allcalc.org/6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