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nspire
[TI-nspire] getmode() / setmode() - 설정 불러오기 / 저장하기
getMode(ModeNameInteger)
이 함수는 ModeNameInteger로 지정된 모드의 현재 설정 값을 반환합니다.
getMode(0)
이 함수는 숫자 쌍의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각 쌍은 모드 번호와 설정 번호로 구성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모드와 해당 설정 값을 확인하세요.
Mode Name | Mode Integer | Setting Integers |
Display Digits | 1 | 1=Float, 2=Float1, 3=Float2, 4=Float3, 5=Float4, 6=Float5, 7=Float6, 8=Float7, 9=Float8, 10=Float9, 11=Float10, 12=Float11, 13=Float12, 14=Fix0, 15=Fix1, 16=Fix2, 17=Fix3, 18=Fix4, 19=Fix5, 20=Fix6, 21=Fix7, 22=Fix8, 23=Fix9, 24=Fix10, 25=Fix11, 26=Fix12 |
Angle | 2 | 1=Radian, 2=Degree, 3=Gradian |
Exponential Format |
3 | 1=Normal, 2=Scientific, 3=Engineering |
Real or Complex |
4 | 1=Real, 2=Rectangular, 3=Polar |
Auto or Approx |
5 | 1=Auto, 2=Approximate |
Vector Format | 6 | 1=Rectangular, 2=Cylindrical, 3=Spherical |
Base | 7 | 1=Decimal, 2=Hex, 3=Binary |
setMode(modeNameInteger, settingInteger)
이 함수는 modeNameInteger로 지정된 모드를 settingInteger로 임시 설정하고, 원래 설정 값을 나타내는 정수를 반환합니다. 이 변경은 프로그램이나 함수의 실행 기간 동안만 유효합니다.
modeNameInteger는 설정하려는 모드를 지정합니다. 아래 표의 모드 번호 중 하나여야 합니다.
settingInteger는 모드의 새로운 설정 값을 지정합니다. 설정하려는 특정 모드에 대해 위에 나열된 설정 번호 중 하나여야 합니다.
setMode(list)
이 함수는 여러 설정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습니다. list는 모드 번호와 설정 번호의 쌍으로 구성됩니다.
ㄴ setMode(list) 는 원래 모드와 설정을 나타내는 정수 쌍의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참고: 현재 모드 설정은 호출된 서브루틴에 전달됩니다. 서브루틴이 모드 설정을 변경하면, 호출 루틴으로 제어가 반환될 때 모드 변경 사항이 손실됩니다.
예제 입력에 대한 참고: 다중 라인 프로그램 및 함수 정의 입력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품 사용 설명서의 계산기 섹션을 참고하세요.
getMode(0) → var 로 설정을 저장하면,
setMode(var) 를 사용하여 함수나 프로그램 내에서 설정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장*훈)님 (+10,000원) 계좌 후원(2025/10/09) 감사 드립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