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재무금융 ()
    • 이자율 변동에 따른 채권 가치 / 자본이득률 / 수익률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10.30 - 15:44 2024.10.26 - 19:41 409 2

    [문제]

     

    (주) 버스커 핸섬웨이는 작년에 액면가 1,000원, 표면금리 10%인 30년 만기 채권을 1,000원에 구입했습니다. (표면금리는 연단위로 지급됨)

    1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 시장금리는 10%에서 20%로 상승했습니다. 

     

    1. 금리 상승 전후의 채권 가치 변화를 구하시오.
    2. 자본 이득률을 구하시오. 
    3. 1년 동안의 수익률을 구하시오. 
    4. 이러한 금리 상승이 장기 채권의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듀레이션(Duration) 개념을 활용할 것)
    5. 만기가 30년이 아닌 10년이었다면 채권 가치 하락 폭은 어떻게 달라졌을지 추론하시오.

     

    image.png

     

    [풀이]

     

    1. 금리 상승 전후의 채권 가치 변화

    - 액면가(F) = 1,000원  
    - 표면금리(Coupon Rate) = 10%  
    - 표면 이자(Coupon Payment) = 100원 (매년)  
    - 남은 만기(Maturity) = 29년

     

    (1) 금리 상승 전 (시장금리 10%)에서의 채권 가치

    - 시장금리가 10%일 때 채권 가치는 매년 받는 이자와 만기 시 받는 원금을 10%로 할인한 현재가치의 합입니다.

    \[
    \text{채권 가치} = \sum_{t=1}^{29} \frac{100}{(1+0.1)^t} + \frac{1000}{(1+0.1)^{29}}
    \]

    계산 결과:
    \[
    \text{금리 상승 전 채권 가치} \approx 1,000 \text{원}
    \]

     

    (2) 금리 상승 후 (시장금리 20%)에서의 채권 가치

    - 시장금리가 20%로 상승한 경우, 할인율 20%로 계산한 채권 가치입니다.

    \[
    \text{채권 가치} = \sum_{t=1}^{29} \frac{100}{(1+0.2)^t} + \frac{1000}{(1+0.2)^{29}}
    \]

    계산 결과:
    \[
    \text{금리 상승 후 채권 가치} \approx 502.53 \text{원}
    \]

     

    2. 자본 이득률

    자본 이득률은 금리 상승 후 채권 가치와 상승 전 채권 가치를 비교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
    \text{자본 이득률} = \frac{\text{금리 상승 후 채권 가치} - \text{금리 상승 전 채권 가치}}{\text{금리 상승 전 채권 가치}}
    \]

    \[
    \text{자본 이득률} = \frac{502.53 - 1000}{1000} = -0.4975 \text{ 또는 } -49.75\%
    \]

     

    3. 1년 동안의 수익률

    1년 동안의 수익률은 이자 수익과 자본 손익을 포함한 총 수익을 투자 원금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이자 수익: 100원 (1년간 받은 이자)
    - 자본 손익: 금리 상승 후 채권 가치 - 투자 원금

    \[
    \text{1년 수익률} = \frac{100 + (502.53 - 1000)}{1000} = -0.39747
    \]

    \[
    \text{1년 수익률} = \text{이자수익률} + \text{자본이득률} = 10\% + (-49.75\%) = -39.75\%
    \]

     

    4. 금리 상승이 장기 채권의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 (듀레이션 활용)

    - 듀레이션은 채권의 현금흐름을 고려한 평균만기를 의미하며, 금리변동에 대한 채권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듀레이션과 채권가격 변동의 관계:
      * 가격변화율 ≈ -듀레이션 × 금리변화폭
      * 본 사례의 경우: -49.75% ≈ -듀레이션 × (20% - 10%)
      * 따라서 이 채권의 듀레이션은 약 4.975로 추정됩니다.
    - 장기채권일수록 듀레이션이 커지는 이유:
      * 만기가 길수록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금리변화에 더 민감해집니다.
      * 이자지급과 원금상환이 더 먼 미래에 이루어져 할인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5. 만기가 10년이었을 때, 채권 가치 하락 폭 변화 추론

    - 채권의 듀레이션은 만기, 표면이자율, 시장이자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 만기가 길수록 듀레이션 증가
      * 표면이자율이 높을수록 듀레이션 감소
      * 시장이자율이 높을수록 듀레이션 감소

    - 본 사례의 경우(표면이자율 10%, 시장이자율 10%→20%):
      * 30년 만기: 약 -49.75%의 가치 하락 발생
      * 10년 만기: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하락 예상
        - 만기가 짧아 현금흐름이 더 빨리 발생
        - 원금 회수 시점이 더 가까워 현재가치 변동 폭 감소
        - 전체 이자 지급 횟수가 적어 금리 변동의 누적 효과 감소

    - 참고로 표면이자율이 더 높았다면:
      * 중간에 받는 이자가 더 커서 듀레이션이 더 작아졌을 것
      * 따라서 금리 상승에 따른 가치 하락 폭이 더 작았을 것

    - 또한 시장이자율이 20%로 상승한 후에는:
      * 높아진 할인율로 인해 듀레이션이 감소
      * 추가적인 금리 상승에 대한 민감도는 처음보다 작아짐

    Attached file
    image.png 4.2KB 25
    이 게시물을..
    N
    0
    0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미래 AI의 세 번째 임계점: '자율 AI 에이전트'와 '효율성'의 만남 100 2025 11.06 AI 발전의 두 번째 임계점: LLM과 창발적 능력의 시대. written by gemini-2.5 91 2025 11.06 AI 발전의 첫 번째 임계점: GPU와 딥러닝 혁명. written by gemini-2.5 91 2025 11.06 적록 색약 보정 렌즈(안경) 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해본다면? 411 7 2025 11.04 [ticalc.org 펌] Gamma & Zeta function +more. 감마 제타 함수 외 233 2 2025 10.29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참고 - [공학용 계산기] 로그의 입력 (log, ln) (feat. 밑 입력이 안되는 계산기는?) https://allcalc.org/14995 2025 11.14 HP-39gII 에 ExistOS 설치하기 https://allcalc.org/38526   2025 11.07   1. 왜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보일까? (제공된 LUT 필터)     제가 제공해 드린 magenta_lens.cube LUT 필터는 540~560nm(녹색-노란색) 파장대의 색상을 '완전히 제거(검은색으로   만듦)'하는 대신, '다른 색상으로 왜곡/변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원리: LUT(Look-Up Table)는 특정 입력 색상(Input RGB)을 미리 정해진 다른 출력 색상(Output RGB)으로 매핑하는      테이블입니다. 이 LUT는 540~560nm에 해당하는 RGB 값들이 들어오면, 검은색(0, 0, 0)이 아닌, 매우 어둡거나 채도가      낮은 특정 색(예: 어두운 올리브색, 갈색 등)으로 변환하라고 지시합니다.    * 의도:        * 현실적인 물리 필터 시뮬레이션: 실제 고가의 색약 보정 안경도 특정 파장을 100%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합니다.          빛의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통과시키거나 변환하는데, 이 LUT는 그러한 현실 세계의 필터 효과를 더 비슷하게          흉내 냈을 수 있습니다.        * 시각적 정보 유지: 특정 색을 완전히 검게 만들면 그 부분의 형태나 질감 정보가 완전히 사라집니다. 하지만 다른          어두운 색으로 대체하면, 색상 정보는 왜곡되더라도 밝기나 형태 정보는 어느 정도 유지되어 전체적인 이미지가 덜           어색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펙트럼 그림에서 해당 대역의 색이 갑자기 '다른 색으로 툭 바뀌는' 현상은, LUT 필터가 "이 파장대의   색은 앞으로 이 색으로 표시해!"라고 강제적으로 지시한 결과이며, 이것이 바로 이 필터가 작동하는 방식 그   자체입니다.     2. 왜 'Color Vision Helper' 앱은 검은색으로 보일까?     비교하신 'Color Vision Helper' 앱은 노치 필터의 원리를 더 이상적(Ideal)이고 교과서적으로 구현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원리: "L-콘과 M-콘의 신호가 겹치는 540~560nm 파장의 빛은 '완전히 차단'되어야 한다"는 개념에 매우 충실한      방식입니다.    * 구현: 따라서 해당 파장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가 들어오면, 어떠한 타협도 없이 그냥 '검은색(RGB 0, 0, 0)'으로      처리해 버립니다. 이는 "이 파장의 빛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하겠다"는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표현입니다. 2025 11.06 적용사례 4 - 파장 스펙트럼 https://news.samsungdisplay.com/26683   ㄴ (좌) 연속되는 그라데이션 ➡️ (우) 540 이하 | 구분되는 층(색) | 560 이상    - 겹치는 부분, 즉 540~560 nm 에서 색상이 차단? 변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그럼 폰에서 Color Vision Helper 앱으로 보면? ㄴ 540~560 nm 대역이 검은 띠로 표시됨. 완전 차단됨을 의미   2025 11.05 빨간 셀로판지로도 이시하라 테스트 같은 숫자 구분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색상이 다양하다면 빨강이나, 노랑, 주황 등도 테스트해보면 재밌겠네요. 2025 11.05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2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6 - 20:28 2024.10.26 - 20:25 #51455

      1년동안 수익률에서 이자수익률 + 자본이득률을 직접 더해도 되는 이유


      이자수익률 = 이자액/기초투자액

      자본이득률 = 현재자본가치/기초자본투자액 

       

      기초 투자액=기초 자본투자액 = 1000 으로 같기 때문에

      가중평균으로 계산할 필요 없이 더하기만 하면 됨.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6 - 20:28 2024.10.26 - 20:28 #51458

      BA II Plus 로 계산


      https://allcalc.org/51444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2
    × CLOSE
    전체 수학 64 확률통계 18 공학 13 물리학 2 화학 3 생물학 재무금융 10 기타 2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 사업자등록번호 703-91-02181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