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일반(쌀집) 계산기
    • 일반(쌀집) 계산기
    • 일반 계산기로 (상용) 로그값을 구할 수 있을까?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 2024.07.09 - 14:40 2024.06.15 - 23:34  701  11

    ChatGPT-4o 에게 물어봤습니다. 


    일반 계산기 basic calculator 를 이용해 상용로그의 값을 구할 수 있나? 예를 들어 상용로그 log(7.56) 을 구한다면?

     

    스크린샷 2024-06-15 234124.png

     

    스크린샷 2024-06-15 234146.png
    ​​​​​

    아니... ChatGPT야! 자연로그 계산 기능이 있는 계산기에 상용로그 계산 기능이 없겠니? 있겠니?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라.

     

    스크린샷 2024-06-15 234218.png

     

    스크린샷 2024-06-15 234241.png

    근사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0
    0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6-15 234124.png 55.6KB 18스크린샷 2024-06-15 234146.png 67.7KB 23스크린샷 2024-06-15 234218.png 74.3KB 33스크린샷 2024-06-15 234241.png 76.1KB 25
    이 게시물을..
    • 세상의모든계산기 세상의모든계산기 Lv. 25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 [HS-1210TS] Canon 일반 계산기 사용설명서세상의모든계산기
    • (python 프로그램) allcalc.org 쌀집 계산기세상의모든계산기

     댓글 11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16 01:56 #comment_41456

        'log3, log5, log2 값을 내가 알고 있었나?'


        0.3010 은 숫자를 보니까 '아하!' 하고 기억이 나는군요.

        0.4771 은 숫자를 보니까 '아~~ 그랬던 것 같기도 하고...' 기억이 날듯 말듯

        0.6990 은 숫자를 봐도 모르겠네요. 머리속에서 깔끔하게 지워진 듯 합니다. 아... 1-log2 = log5 가 되죠. 외울 필요가 없었던건가?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26 14:05 #comment_42946

        Claude 3.5 Sonnet 


        질문 : 상용로그 log(7.56) 을 구하려고 해. 1. 로그표를 사용할 수 없고, 2. 공학용 계산기를 사용할 수 없어. 3. 상용로그 log(2) log(3) log(5) 와 같은 값도 알고있지 않아.

        답변 :

         

        이해했습니다. 상용로그 log(7.56)을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주어진 제한 사항을 고려하여 접근하겠습니다.

         

        1단계: 7.56을 10의 거듭제곱 형태로 표현
        7.56 = 10^x 라고 할 때, x를 찾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2단계: 양변에 로그를 취합니다.
        log(7.56) = log(10^x) = x

         

        3단계: 7.56을 10에 가까운 수와 그 나머지로 분해
        7.56 = 10 * 0.756

         

        4단계: 로그의 성질을 이용
        log(7.56) = log(10 * 0.756) = log(10) + log(0.756) = 1 + log(0.756)

         

        5단계: 0.756에 대한 근사값 찾기
        0.756은 1보다 작고 0.5보다 크므로, log(0.756)은 0과 -0.3 사이의 값일 것입니다. // 0은 알겠는데, -0.3은? (log2에서 착안한 듯?)
        더 정확한 근사를 위해, 0.756 ≈ 10^(-0.12)라고 가정해 봅시다. // 뭐지? 급발진은?

         

        6단계: 최종 계산
        log(7.56) ≈ 1 + (-0.12) = 0.88

         

        따라서, 주어진 제한 사항 하에서 log(7.56)의 근사값은 0.88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한 값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주어진 조건에서 상용로그의 개념과 성질을 이용하여 근사값을 구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실제 log(7.56)의 정확한 값은 약 0.8785입니다.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거나 다른 질문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26 14:40 #comment_42949

        쌀집 계산기 : 방법1

         

        image.png

         

        10^x = 756 을 만족하는 x 를 구하고 -2를 하면 정답이니까, 

        10의 몇제곱을 하면 756 이 될 것인가? 를 찾으면 됨.

         

        1. 1. 2제곱(100)보다는 많아야 하고 3제곱(1000)보다는 적어야 한다. 
        2. 2. 5/2 = 2.5제곱은 √16_right.png곱하기 5회(=6-1)반복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데 316이니까 많이 모자르고 
        3. 3. 분모를 4로 하면 √√16_right.png곱하기 11회(=12-1)반복하여 보아도 562로 많이 모자르고 
        4. 4. 분모를 8로 하면 √√√16_right.png곱하기 23회(=24-1)까지 하니까 739.89 로 찾는 값 756에 매우 근접함을 알 수 있다. 
        5. 5. 반복을 더 하여 더 근접한 횟수를 찾을 것 같으면 더 하는 것이고, 대충 만족하려면 여기서 스탑
        6. 23/8 - 2 로 최종 결과값 0.875를 구함. 오차율 = −0.4 %

          image.png

        Attached file
        image.png 34.5KB / 8 image.png 12.8KB / 10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26 14:46 #comment_42953

        분모를 16으로(√√√√) 하면 

        분모를 8로 했을 때(√√√) 와 비교해 

        (시도횟수상) 간격이 반으로 줄어들게 됨

         

        그 말을 다시 풀면 

        분모 8에서는 (24-1) 번째에 749.89 가 나왔으니, 

        분모 16에서는 (48-2) 번째에 749.89 가 나오고,

        (48-1)번째에는 749.89 - 1000 사이의 어떤 값이 나오게 된다는 것.

        정확하게는 몰라도 대충 그 값이 '(749보다 더) 756에 가깝지는 않을 것'은 알 수 있을 것

        스크린샷 2024-06-26 235806.png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6-26 235806.png 13.4KB / 8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26 15:06 #comment_42958

        이해를 돕기 위해 그래프로 그려보면

         

        image.png

         

        대충 오차가 10 이내로 들어오면 운 좋게 찾아진 것. 

         

        Attached file
        image.png 12.6KB / 7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26 15:21 #comment_42962

        쌀집 계산기 방법 2

         

        버튼 입력 횟수에 무관하게

        무식&정확하게 구해 나간다면... 

        스크린샷 2024-06-27 002037.png

         

        (1/2)+(1/2)+(1/2)+(1/2)+(1/2)

        +(1/4)

        +(1/8)

        +(1/16)

        -(1/32)

        -(1/64)

        -(1/128)

        -(1/256)

         

        =((737)/(256)) = 2.87890625

         

        최종 답 = 0.87890625

        오차율 = 0.0437615208591%


        다음 단계의 값을 루트로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 때문에 앞의 결과값 ans 를 메모리에 먼저 넣어야 하므로 

        상~당히 귀찮은 작업입니다.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6-27 002037.png 47.0KB / 7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26 15:29 #comment_42966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앞에서 10^(1/16) 을 이용해 근사값을 구할 수 있었는데,
        그보다 정확한 근사값을 찾으려면 10^(1/256) 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고,
        이보다 더 정확한 근사값을 얻기 위한 다음 단계의 값(=10^(1/x))은 알 수 없다는 것.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6.28 05:50 #comment_42995

        다시 보니까 √ 버튼이 스택에 쌓여있는 입력보다 우선 계산되기 때문에 

        M 메모리를 쓰지 않고도 계산이 가능하네요.


        (8클릭) 1 0 √ × = = = = 316.2277
        (6클릭) × 1 0 √√ =  562.3413
        (6클릭) × 1 0 √√√ = 749.8942

        749.89420933246 구하는 데까지 20번 클릭이면 되네요.

        (오차 줄인다고) 한번 더 갔다가 되돌아오려면

        추가로 +45 클릭이 필요합니다.
        16제곱근(7클릭) : × 1 0 √√√√ = 865.9643 > 756 
        32제곱근(8클릭) : ÷ 1 0 √√√√√ = 805.8421 > 756 
        64제곱근(9클릭) : ÷ 1 0 √√√√√√ = 777.3650 > 756 
        128제곱근(10클릭) : ÷ 1 0 √√√√√√√ = 763.5060 > 756 
        256제곱근(11클릭) : ÷ 1 0 √√√√√√√√ = 756.6695 ≒ 756 

         

        버튼 입력 횟수가 줄어드는 것도 좋지만, 

        계산중 M을 부르고 지우고 더하고 하는 관리과정이 빠지니까 훨씬 수월합니다.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7.01 05:17 #comment_43335

        계산 과정을 입체적? 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되구요.

         

        07-01-2024 Image002.jpg

        최종 수식에서

        곱하기에 해당하는 지수는 더해주고 (1/2)*5회 + (1/4) + (1/8) + (1/16)

        나누기에 해당하는 지수는 빼주면 - (1/32) - (1/64) - (1/128) + (1/256) 

        찾고자 하는 로그값이 나오는 것이죠.

         

        Attached file
        07-01-2024 Image002.jpg 62.3KB / 12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7.01 05:50 #comment_43344

        마지막 수식 계산 입력식 (Non-K)


        h32_2_1_AC.png

        h32_3_10_n0.pngh32_3_12_dot.pngh32_3_05_n5.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

        h32_4_4_divide.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

        h32_2_4_change.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

        h32_4_8_gt.png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05.205.197) 2024.07.09 14:40 #comment_43896

        그럼 자연로그도 가능??


        10 을 n회 루트 씌우는 것은 쉽지만
        e를 매번 입력하는 것은 비교할 수 없을만큼 더 피곤

        ln(a) = log(a)/log(e) 이므로
        log(a) 값을 구한 후에 log(e) 값을 구해서 나누는 과정이 추가되는 걸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 \log_{10}e = 0.43429448190325... $

        이 값을 외우고 있으면 가능하다는 건데, 누가 외우고 다님?

        0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목록 목록
    • [HS-1210TS] Canon 일반 계산기 사용설명서
    • (python 프로그램) allcalc.org 쌀집 계산기
    • 목록
    11
    by OrangeDay
    • 일반(쌀집) 계산기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